문화원 컨텐츠소개
본 사이트에 수록하고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본 사이트에 수록하고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컨텐츠문의 : 02-392-6860
교재
불교의식 가운데 공양의식, 이운의식, 예경의식, 권공의식, 천도의식, 수행의식, 다비의식, 수계의식 등을 연구 분석한 해설서 입니다. 의식문 전부가 한문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글세대에게는 접근이 쉽지 않습니다. 필자 역시 한글세대이기에 후학들의 어려움을 덜어주려는 고민으로 빚어낸 결과물 입니다.
"불교의식각론"의 구성은 원문과 해석, 자구해설, 개용, 구성과 내용, 의식, 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중․고등학교에서 받은 교육 내용의 패턴을 유지함으로써 한문에서 오는 거부감을 가급적 줄이도록 노력하였습니다."초발심자경"과 "금강경" 역시 초심자가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불교의식 가운데 공양의식, 이운의식, 예경의식, 권공의식, 천도의식, 수행의식, 다비의식, 수계의식 등을 연구 분석한 해설서 입니다. 의식문 전부가 한문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글세대에게는 접근이 쉽지 않습니다. 필자 역시 한글세대이기에 후학들의 어려움을 덜어주려는 고민으로 빚어낸 결과물 입니다.
"불교의식각론"의 구성은 원문과 해석, 자구해설, 개용, 구성과 내용, 의식, 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중․고등학교에서 받은 교육 내용의 패턴을 유지함으로써 한문에서 오는 거부감을 가급적 줄이도록 노력하였습니다."초발심자경"과 "금강경" 역시 초심자가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논문
불교의식 가운데 각종의식은 물론 작법 등 다양한 장르의 내용을 주제로 살핀 내용입니다. 의식이나 작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 내용을 연구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기 바라며 소개합니다.
※ ‘★’ 등재후보지 이상
1. 작법무 거행의 배경과 의의(2005), 한국공연문화학회 ★
2. 설법의식에 대한 고찰(2006), 동방논총 제1집
3. 염불의 영험에 대한 고찰(2006), 2006한국불교학결집대회
4. 공양과 일용의식의 차제(2007), 영산재학회
5. 전통가사의 색상과 의재에 대한 고찰(2008), 영산재학회
6. 홍가사의 형태와 부착물에 대한 고찰(2009), 영산재학회
7. 범패의 이해와 감상에 대한 소고(2009), 위덕대학교 밀교학보
8. 영산재 장엄에 관한 고찰(2010), 위덕대학교 밀교학보
9. 재의 종류와 분류법에 관한 일고찰(2012), 영산재학회
10. 반승과 식당작법의 관계에 대한 연구(2012), 불교학연구 제31집 ★
11. 의식시 좌립에 대한 고찰(2012), 정토학회 제17집 ★
12. 불교의 의식음악에 대한 일고찰(201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제26호 ★
13. 작법무의 연원과 기능에 대한 고찰(2012),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제12집 ★
14. 계청의 구성과 번역에 관한 연구(2012), 대각사상 제18집 ★
15. 장군죽비에 관한 연구(2014), 한국불교학 제70집 ★
16. 시식과 영반에 대한 고찰(2014), 한국불교학 제72집 ★
17. 영산재의 효율적 전승과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에 관한 연구(2015), 정토학회 제23집 ★
18. 송주에 관한 연구(2015), 한국불교학 제75집 ★
19. 간당에 관한 연구(2016), 한국불교학 제77집 [박성환, 심상현] ★
20. 오로단작법에 대한 고찰(2016), 한국불교학 제80집 [이진수, 박성환] ★
21. 순당작법에 관한 연구(2016),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제12집 [박성환, 이진수] ★
불교의식 가운데 각종의식은 물론 작법 등 다양한 장르의 내용을 주제로 살핀 내용입니다. 의식이나 작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 내용을 연구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기 바라며 소개합니다.
※ ‘★’ 등재후보지 이상
1. 작법무 거행의 배경과 의의(2005), 한국공연문화학회 ★
2. 설법의식에 대한 고찰(2006), 동방논총 제1집
3. 염불의 영험에 대한 고찰(2006), 2006한국불교학결집대회
4. 공양과 일용의식의 차제(2007), 영산재학회
5. 전통가사의 색상과 의재에 대한 고찰(2008), 영산재학회
6. 홍가사의 형태와 부착물에 대한 고찰(2009), 영산재학회
7. 범패의 이해와 감상에 대한 소고(2009), 위덕대학교 밀교학보
8. 영산재 장엄에 관한 고찰(2010), 위덕대학교 밀교학보
9. 재의 종류와 분류법에 관한 일고찰(2012), 영산재학회
10. 반승과 식당작법의 관계에 대한 연구(2012), 불교학연구 제31집 ★
11. 의식시 좌립에 대한 고찰(2012), 정토학회 제17집 ★
12. 불교의 의식음악에 대한 일고찰(201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제26호 ★
13. 작법무의 연원과 기능에 대한 고찰(2012),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제12집 ★
14. 계청의 구성과 번역에 관한 연구(2012), 대각사상 제18집 ★
15. 장군죽비에 관한 연구(2014), 한국불교학 제70집 ★
16. 시식과 영반에 대한 고찰(2014), 한국불교학 제72집 ★
17. 영산재의 효율적 전승과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에 관한 연구(2015), 정토학회 제23집 ★
18. 송주에 관한 연구(2015), 한국불교학 제75집 ★
19. 간당에 관한 연구(2016), 한국불교학 제77집 [박성환, 심상현] ★
20. 오로단작법에 대한 고찰(2016), 한국불교학 제80집 [이진수, 박성환] ★
21. 순당작법에 관한 연구(2016),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제12집 [박성환, 이진수] ★
문각집(問覺集)[수필]
불교는 ‘이 점이 궁금합니다(何以故)’로 시작하여 ‘궁금증이 해결돼 뛸 듯이 기쁩니다(歡喜踊躍)’로 마치는 종교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 끊임없는 질문을 권장하고 수용하는 종교! ‘문각집(問覺集)’은 이처럼 넉넉한 불교의 품 안에서 신행생활을 하며, 나름대로 지녔던 의문과 해답을 찾았을 때 느낀 작은 깨달음을 글로 옮긴 것입니다.
그리고 이 내용은 한국불교태고종에서 발행하는 월간잡지 ‘불교’에 48회에 걸쳐 소개하기도 하였습니다. 신앙 포교 등을 주제로 한 일종의 수필입니다.
월간인 만큼 주제를 그 달의 주요행사에서 찾은 것이 대부분입니다. 불교의 세시풍속에 관심 있으신 불자님들과의 소통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합니다.
1.통알 2.방생 3.출가재일 4.삼짇날 5.사월초파일 6.단오절 7.보살계 8.칠월칠석 9.팔월한가위 10.다례 11.동안거 12.동지팥죽 13.성도재일 14.성공설 15.억불정책 16.수행차제 17.생전예수재 18.우상과 성상 19.다라니 20.소내기와 소나기 21.백중 22.승선교와 강선루 23.반야심경의 파워 24.조사선과 양무제 25.정도전과 이완용 26.목적과 목표 27.천리 길을 가려면 28.욕심과 원 29.사랑할 원수조차 없다 30.南과 北은 ‘우리’ 31.‘국수경(經)’과 ‘범벅경’ 32.하심 33.호미 34.한글과 신미대사 35.멋 36.회향 37.골디락스 38.장군죽비 39.삼박자 40.우리가 남이가 41.방하착 42.작법무의 종류 43.참회와 절개 44.어진 벗 45.너 자신을 알라 46.아사모 47.염불선 48.유종의 미
불교는 ‘이 점이 궁금합니다(何以故)’로 시작하여 ‘궁금증이 해결돼 뛸 듯이 기쁩니다(歡喜踊躍)’로 마치는 종교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 끊임없는 질문을 권장하고 수용하는 종교! ‘문각집(問覺集)’은 이처럼 넉넉한 불교의 품 안에서 신행생활을 하며, 나름대로 지녔던 의문과 해답을 찾았을 때 느낀 작은 깨달음을 글로 옮긴 것입니다.
그리고 이 내용은 한국불교태고종에서 발행하는 월간잡지 ‘불교’에 48회에 걸쳐 소개하기도 하였습니다. 신앙 포교 등을 주제로 한 일종의 수필입니다.
월간인 만큼 주제를 그 달의 주요행사에서 찾은 것이 대부분입니다. 불교의 세시풍속에 관심 있으신 불자님들과의 소통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합니다.
1.통알 2.방생 3.출가재일 4.삼짇날 5.사월초파일 6.단오절 7.보살계 8.칠월칠석 9.팔월한가위 10.다례 11.동안거 12.동지팥죽 13.성도재일 14.성공설 15.억불정책 16.수행차제 17.생전예수재 18.우상과 성상 19.다라니 20.소내기와 소나기 21.백중 22.승선교와 강선루 23.반야심경의 파워 24.조사선과 양무제 25.정도전과 이완용 26.목적과 목표 27.천리 길을 가려면 28.욕심과 원 29.사랑할 원수조차 없다 30.南과 北은 ‘우리’ 31.‘국수경(經)’과 ‘범벅경’ 32.하심 33.호미 34.한글과 신미대사 35.멋 36.회향 37.골디락스 38.장군죽비 39.삼박자 40.우리가 남이가 41.방하착 42.작법무의 종류 43.참회와 절개 44.어진 벗 45.너 자신을 알라 46.아사모 47.염불선 48.유종의 미
문중행사
본 문화원은, 현판 모두(冒頭)에 ‘범패중흥 제2조 벽해당 성업기념’이라 명시하였듯 선사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선양함을 목적으로 개원하였습니다.
세 사람 이상 모이면 ‘무리(衆)’라 합니다. 뜻을 같이하는 수가 점차 늘어나며 크고 작은 불사와 일이 있게 되고, 그 진행에는 나름의 질서와 모범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장위종(理長爲宗)’의 입장에서 기존의 아름다운 귀감은 주저 없이 따르며 선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불법(佛法)을 바탕으로 숙고하며 후학들에게 준범이 되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불사를 계획함에는 제방의 선지식과 도반 여러분의 지혜를 빌어 가급적 실수를 줄이도록 하고, 같은 일을 처리함에 망설임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기록을 남기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기록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은 바람직한 성과라면 함께 나누고 부족한 점이 있다면 가르침 주실 것을 당부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맺는 인연들이 장차 성불로 이어지길 간절히 기원하는 바입니다.
본 문화원은, 현판 모두(冒頭)에 ‘범패중흥 제2조 벽해당 성업기념’이라 명시하였듯 선사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선양함을 목적으로 개원하였습니다.
세 사람 이상 모이면 ‘무리(衆)’라 합니다. 뜻을 같이하는 수가 점차 늘어나며 크고 작은 불사와 일이 있게 되고, 그 진행에는 나름의 질서와 모범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장위종(理長爲宗)’의 입장에서 기존의 아름다운 귀감은 주저 없이 따르며 선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불법(佛法)을 바탕으로 숙고하며 후학들에게 준범이 되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불사를 계획함에는 제방의 선지식과 도반 여러분의 지혜를 빌어 가급적 실수를 줄이도록 하고, 같은 일을 처리함에 망설임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기록을 남기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기록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은 바람직한 성과라면 함께 나누고 부족한 점이 있다면 가르침 주실 것을 당부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맺는 인연들이 장차 성불로 이어지길 간절히 기원하는 바입니다.